나도하기 세상이야기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뜻과 차이점 본문

사회복지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뜻과 차이점

나도하기 2024. 1. 24. 21:48
반응형

소득공제액은 근로자의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하는 금액이고, 세액공제액은 산출된 세액에서 공제하는 금액입니다. 즉, 소득공제는 과세표준을 덜어내는 개념이고, 세액공제는 낼 세금을 깎아주는 개념이기 때문에 같은 금액의 소득공제보다 세액공제의 세금 혜택 효과가 큽니다. 그럼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 연말정산 소득공제ㆍ 세액공제 뜻

1) 소득공제

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근로소득금액에서 법으로 정하여진 금액을 빼는 것으로, 소득이 줄기 때문에 세금이 줄어든 효과가 발생합니다.
 
예시)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인적소득 공제 1인당 150만 원을 근로소득금액에서 차감한 후 세액을 계산
 

2) 세액공제

과세소득금액에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세액에서 일정금액을 공제하는 것으로, 세금자체를 깎아주기 때문에 소득공제보다 세금혜택이 더 큼
 
예시) 산출세금이 300만 원이고, 의료비 세액공제를 100만 원 받게 되면 결정세액은 200만 원.
 
 

홈택스 간소화 서비스 예상세액계산 화면
출처: 홈택스 간소화 서비스 예상세액계산 화면 중

  1. ② 근로소득금액 - 근로자 소득공제액 = ③ 과세표준액 산출
  2. ③ 과세표준 금액에 세율을 적용하여 ④ 산출세액을 계산
  3. ④ 산출세액에서 - 근로자 세액공제액을  = ⑤ 결정세액 산출
  4. ⑤ 결정세액  - ⑥ 기납부 소득세액(먼저 낸세금)  = ⑦ 차감징수납부(환급) 예상세액 

※ ⑦ 차감징수납부(환급) 예상세액이 ' - ' 일 경우 세금을 환급받고,  ' + ' 일 경우 추가로 세금을 징수받게 됩니다.
※ 기납부 소득세액(먼제 낸 세금) 이란?  월 급여 명세서상의 '소득세' 합계 금액
 
 

▣ 연말정산 소득공제ㆍ 세액공제 항목 및 요건 알아보기

  • 소득공제는 기본 인적공제 (배우자, 직계존속 등), 추가공제(장애인, 경로우대, 부녀자, 한부모), 연금보험료 공제, 특별소득공제(보험료, 주택자금공제, 개인연금저축, 주택마련저축, 신용카드 등) 등이 있음
  • 세액공제는 자녀세액공제(8세 이상), 연금계좌세액공제, 특별세액공제(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표준세액공제 등이 있음

 

1) 소득ㆍ세액공제 요건표

연말정산 소득ㆍ세액공제 요건표
출처: 국세청 2023 연말정산 신고안내 책자 중-연말정산 소득ㆍ세액공제 요건표

 
 
2) 근로소득자의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근로소득자의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근로소득자의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출처: 국세청 2023 연말정산 신고안내 책자 중
근로소득자의 과세표준근로소득자의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출처: 국세청 2023 연말정산 신고안내 책자 중

 


세금 이미지
TAX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모두 절세효과가 있지만, 결정된 세금에서 공제금액을 차감하는 세액공제가 소득공제보다 세금 혜택이 큰 특징이 있습니다. 근로자 분들은 저축도 하고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이나 IRP 계좌를 잘 활용해 보세요.
 
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