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션오일점검주기
- 자동차하부소음
- 신한은행납입증명서
- 미국옵션만기일
-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 차수명늘리기
- 티스토리
- 국내휴장일
- 미션오일점검방법
- 갤럭시문서스캔
- 미션오일색상
- 미션오일점검
- 기업은행배당기준일
- 갤럭시폰문서스캔방법
- 연말정산
- 주식거래시간
- 타이어정보확인방법
- 티스토리챌린지
- 휘발유차량배출가스부적합
- 타이어제조일확인
- 주택청약저축납입증명서온라인발급
- 연말정산납입증명서
- 미션관리
- 스마트폰문서스캔방법
- 오블완
- 2025년선물만기일
- yf소나타배출가스부적합
- 복지로
- 국내옵션만기일
- 2025년옵션만기일
- Today
- Total
나도하기 세상이야기
위내시경 금식시간 및 비수면 검사 후기 본문
건강검진 기본 위암 검사 대상자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고 왔습니다. 내시경 검사는 수면과 비수면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고민 끝에 이번에도 비수면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았네요. 비수면 내시경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 경험담 살짝 공유해 드립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구분 | 지역가입자 | 직장가입자 |
검진 대상 | 세대주와 만 20세이상 ㆍ짝수년도 출생자 (짝수년도) ㆍ홀수년도 출생자 (홀수년도) |
비사무직 근로자 (1년) 사무직 근로자 (2년) |
검진 항목 | 일반검진 (본인부담 없음) ㆍ기초체위, 비만, 혈압, 진찰, 소변검사 ㆍ혈압검사(간장질환, 당뇨, 신장기능, 빈혈) ㆍ흉부촬영(폐) 암검진(본인부담 없음 또는 10% 본인 부담) |
암검진 대상자
위암검사 (2년) | 대장암검사 (매 년) | 유방암검사 (2년) | 자궁경부암검사 (2년) | 간암검사 (매 년 2회) |
40세 이상 ㆍ검사 선택 (위장조영검사 또는 위내시경) |
50세 이상(대상자) ㆍ분변잠혈검사 |
40세 이상 여성 ㆍ유방촬영 |
20세 이상 여성 ㆍ자궁세포진 |
고위험군 상복부초음파+AFP |
위 내시경 비수면 검사 후기
위내시경은 목 안으로 내시경을 넣어 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누구나 수면 검사와 비수면 검사 방법을 고민하게 됩니다. 수면은 고통 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지만, 마취의 위험성, 검사받는 동안의 기억이 없고, 수면 회복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비수면은 스스로 몸을 통제하고 검사 시간도 빠르지만, 내시경이 몸안을 탐험하는 고통을 인내해야 하기에 쉽지 않은 선택입니다. 물론 검사를 안 받으면 가장 좋겠지만 건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할 수도 없죠. 이번에 받은 위내시경 비수면 검사 경험을 아래 순차적으로 남겨봅니다.
▣ 위내시경 금식시간
정확하고 안전한 검사를 위해 건강검진을 받는 병원에서 안내해 주는 검사 전 금식시간을 준수하는 게 가장 중요하며, 최소 8시간 ~ 12시간 금식이 좋습니다. 전날에는 가능하면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해야 하며, 물을 드시고자 한다면 밤 12시 이전에 마시는 게 좋습니다. 부득이 목이 말라서 물을 마셔야 한다면 목을 조금 축이는 정도(입안을 물로 헹구는 정도)가 좋습니다. 검사 당일에는 가능하면 물도 금식 권장 (검사 직전 무의식적으로 물을 마셨다면 꼭 병원에 문의 후 검사진행을 판단받으셔야 합니다)
- 내시경 검사실에서 접수 및 검사에 대한 안내를 받은 후 위장 보호약을 먹고 대기합니다.
- 대기 후 검사 순서가 되면 간호사분 안내에 따라 검사실로 이동 후 핸드폰, 안경 등 소지품 보관함에 둡니다 (참고: 검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휴대폰은 전원을 끄거나 비행기 모드로 전환)
- 간호사 안내에 따라 침대에 앉으면 입안에 마취제를 뿌려줍니다. 뿌린 마취제는 삼키라고 하네요.
- 마취 후 간호사가 알려주는 자세로 침대에 옆으로 눕습니다.
- 가운데 구멍이 있는 마우스피스 같은 고무를 입에 물고 입을 '옴 형태'로 벌려 검사 준비를 합니다.
- 내시경 카메라가 목으로 넘어갈 때 불편함이 느껴지지만 마취를 해서 인지 헛구역질은 나오지 않았고 못 참을 정도는 아니었네요. (내시경이 일단 목구멍으로 들어가면 의사가 잘 참았다고 말하네요)
- 내시경 카메라를 넣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는데 내시경이 몸으로 계속 들어가면서 느껴지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비수면 선택의 후회가 찾아오지만 이 또한 못 참을 불편함은 아닙니다. (몸안에서 무엇인가 움직이는...)
- 검사를 받는 동안 나는 미동 없이 차분히 검사를 받았지만, 간호사들은 검사받는 내내 '몸에 힘을 빼라', '움직이면 안 돼요' '껄떡돼면 안 돼요'라고 지속적으로 주의를 줍니다. 비수면 검사를 받는 사람들을 경험하면서 간호사들이 터득한 안전한 검사를 위한 방법인 거 같습니다.
- 앞전 비수경 내시경 때에는 숨을 참아라 내쉬어라 등 검사하면서 의사의 주문이 많았는데 이번에는 의사의 주문이 많지 않았네요. (의사마다의 검사 스타일 인지는 모르겠습니다)
- 검사 중간 이 정도면 문제없는 상태라고 의사가 말하고 슬슬 검사를 종료하면서 내시경을 빼냅니다. 내시경을 넣고 뺄 때 공기를 이용해서 하네요. (내장을 늘려주는 기능인가?)
- 두 번째 비수면 검사는 한 번 경험해 본 영향인지는 모르겠지만 체감상 길지 않은 검사였네요. 내시경 검사의 끝은 역시나 좋습니다.
- 내시경 검사 후 마취 영향으로 목구멍과 그 안쪽으로 느낌이 이상하고 목은 편도선이 심하게 부은 느낌이 남아있습니다. 수면 검사를 받아보지 않아 위내시경 이후에 발생되는 일반적인 동일 증상인지는 모르겠네요. (수면검사 시 목에 마취를 하는지는 모르겠네요)
- 침대에서 내려와 소지품 챙겨 대기실로 이동
- 검사결과 안내받고 건강검진 종료, 다행히 위건강은 정상 판정이었으며, 2년 후 받으라고 하네요. (또..)
▣ 위내시경 후 식사안내 (참고: 병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본인이 건강검진 검사받은 병원의 안내사항 준수 必)
ㆍ추가 검사 없을 시 → 퇴실 1시간 이후 물, 음식 섭취 가능 (위 내시경 '목 마취' 시행으로 기도흡인 주의)
ㆍ조직 검사 시행 시 → 2시간 음식 금지 (물은 내시경 검사 퇴실 1시간 이후 가능), 첫 식사는 부드러운 죽 또는 자극이 적은 음식으로 식사, 2~3일 금주, 금연
매번 비수면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고 느꼈던 점은 선택의 후회보다는 '참기 어렵지 않네', '다음에도 비수면으로 해야겠다'였습니다. 하지만 또 내시경 검사를 받을 때가 되면 걱정을 하겠죠. 비수면 검사는 참을 수 있는 불편함이지만 굳이 하고 싶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평소 주사, 치과 치료, 그 외 의료 검사를 받을 때 무덤덤히 검사받는 분들은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판단이므로, 저처럼 수면 마취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면 고려해 보세요. 수면이 좋다면 원하는 방법으로 하는 게 좋겠죠.
위 내시경 후 통증 유형 및 조치
내시경 기구를 입 안을 통해 삽입하여 목에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2~3일(최대 일주일) 정도 목안에 일시적인 이물감 또는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 미지근한 물로 가글 하시면 도움이 되며, 팽만감이 드는 것은 검사 시 공기 주입으로 인한 것이므로, 트림하시면 완화됩니다. 일시적으로 귀밑 턱관절 주변이 붓고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뜻한 수건으로 찜질하시면 완화됩니다.
▣ 수면 내시경 검사자 주의 사항
운전금지, 사우나, 심한 운동, 기계를 다루는 일,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일 모두 삼가
위 내시경 위염, 식도염 진단 시 식생활 및 생활습관 개선 권유
- 맵고 짜고 자극적인 식이 줄이기
- 커피 자제 (특히, 빈속/식사 바로 직후)
- 고카페인 음료, 식품 섭취 자제
- 금연 및 금주
- 야식 및 과식 주의
- 식사 직후 바로 눕는 습관 주의 (마지막 식사 4시간 이후 취침)
- 스트레스 관리 (소화효소 분비를 막고, 위장 운동을 위축시켜 소화를 방해)
- 개인 접시 사용 (타인으로부터의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막기 위함)
서울DMC건강의원 l 종합검진센터
건강한 삶을 위한 질병 예방 및 조기 발견, 서울DMC건강의원|종합검진센터가 함께합니다.
www.dmchc.org
위암 발생이 높은 국내의 경우 위 내시경 검사는 만 40세 이상이 되면 매 2년마다 받아야 하는 국가건강검진 기본항목입니다. 건강을 위해 꼭 검사받으세요!